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열린광장] 한려수도 여수의 3월을 기다리며

수필가지난해 봄 우리 부부는 한국의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첫 출발지라는 여수를 다녀왔다. 처음 가보는 곳이지만 렌터카 없이 대중 교통을 이용한 자유여행이었다. 바다 정원 같은 다도해의 풍경을 보며 다양하고 값싼 해산물을 즐길 수 있었다.   해상공원에서 일출 명소로 유명한 오동도에 갔다. 3월에는 3천 그루의 동백꽃들이 만개하여 섬 전체가 온통 붉게 물든다고 한다. 섬을 일주하는 산책로에 들어서면 남해바다에 떠있는 섬들이 보이고 곳곳에 전설과 시를 적은 전시판이 있다. 정절을 지키려 자결한 어부 부인의 묘에서 하얀 눈이 온 날 피었다는 동백꽃 전설이 있다. 비 오면 용이 나타나 물을 먹고 간다는 ‘용굴바위’ 전설도 있다. 〈시로 읽는 여수〉에서 만든 전시된 시 가운데 공광규 시인의 ‘붉은 치마’ 는 동백의 붉은 꽃의 애절함을 보여준다.   다도해의 멋진 광경을 내려다보러 해상 케이블카를 탔다. 자산 공원에 있는 10층 높이로 올라가는 엘리베이터를 타니 오동도가 보이는 전망대가 나온다.     연인들이 쓴 밀어들이 하트 모양의 나무판에 쓰여 사방에 매달렸다. 케이블카를 타고 해상 중간 지점에 도착해 아래를 내려다보니 아찔했다. 바다 위로 98미터의 허공에 떠 있어 다리 위로 지나가는 차들과 해상공원의 여러 섬들이 작게 보였다. 돌산 공원에 도착하여 저녁놀이 보니 수평선 위의 석양이 하늘을 온통 붉게 불타게 만들었다. 장관이었다.   저녁 8시쯤 출발지로 돌아가는 케이블카를 타고 주말에만 한다는 불꽃 놀이를 기다렸다. 사방은 깜깜한데 멀리 크루즈 선박에서 불꽃 폭죽을 연거푸 쏟아내고 허공에서 작렬했다. 아내는 최고라고 감탄하며 동영상을 찍느라 분주했다. 운행중인 케이블카나 대교 철탑, 그리고 지상의 가게들에서 발산하는 영롱한 조명등들이 까만 바다 수면을 비치고 있다. 케이블카에서 축제의 야경을 내려다보니 정말 환상적이었다.   케이블카에서 내려 여수만의 포차거리와 횟집가게들의 길을 걷는데 노랫소리가 들린다. 장범준 보컬이 2012년에 불러 애창된 ‘여수 밤바다’ 라는 노래였다. 리듬이 마치 파도 치듯 흥겹게 다가온다. 노래 가사처럼 누군가에게 전화를 해서 여수 밤바다의 낭만을 나누고 싶을 만큼 도취한 밤이었다.   다음날 점심에 여수의 맛집을 찾아 ‘봉산 게장 백반거리’에 갔다. 찾아간 음식점에서 ‘돌게장 정식’을 시키니 갈치조림 등 해산물 반찬이 15가지나 나왔다. 두 사람의 비용이 33달러 정도로 저렴한데 간장 게장과 양념 게장을 2번씩 리필이 된다고 한다. 어려서 맛있게 먹던 게장 맛이 생각났다. 둥근 게 껍질 안으로 노란색 알이 보여 밥을 넣고 비벼 먹었다. 결국 밥 한 공기를 더 먹게 되었다. 꽃게탕도 별미였다. 모처럼 식도락을 즐긴 미식가가 된 기분이었다.   시와 전설이 있는 동백섬인 오동도, 해상 케이블카로 내려다볼 수 있는 다도해 섬들, 영롱한 조명과 함께 들러 오는 ‘여수 밤바다’ 낭만이 있는 곳, 간장이나 양념 게장의 맛이 생각나는 맛집들, 실물 크기의 거북선 내부에도 들어가 보고, 한려수도 여수는 3월에 만개한 동백꽃을 보러 다시 한번 가보고 싶은 곳이다. 윤덕환 / 수필가열린광장 한려수도 여수 한려수도 여수 여수 밤바다 해상 케이블카

2025-01-20

[부동산 이야기] 여수 웅천 복합신도시

예로부터 산과 강이 아름다운 대한민국의 전국 곳곳에는 명승지가 많았다. 그리고 현대에는 판문점 가까이 있는 포천부터 반도의 끝에까지 많은 첨단의 도시들이 있어 어디를 가나 서울처럼 높은 빌딩들이 있는 신시가지를 볼 수 있다. 그 도시 중에는 600년 역사의 서울을 능가하는 소득 수준과 생활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곳도 있는 데 그중의 한 곳이 여수이다.     여수시는 전라남도 동남부 끝인 여수반도에 있으며 밤에 외출하면 어디나 ‘여수 밤바다’라는 노래가 생각날 만큼 낭만적이다.   550마일 가까이 되는 해안선을 따라 달리다 보면 365개의 크고 작은 섬들이 끝없이 나타나 평화롭고 수려한 다도해의 풍경을 즐길 수 있다. 남해안의 절경을 대표하는 한려수도라는 이름이 한산도의 ‘한’과 여수의 ‘수’자를 따서 지을 만큼 빼어난 경치를 가지고 있는 여수에는 2개의 국립해상공원이 있다.     여수는 1967년 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고, 그 후 2012년 세계 박람회인 여수 엑스포를 개최하면서 급격히 발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지금의 여수는 전라남도 수출액의 75%를 담당하고 팬데믹 동안에는 잠시 감소하였지만 매년 1300만 명이 넘는 관광객이 방문하는 전남 2위의 도시가 되었다.     더욱이 최근에 지어진 국내 최장 현수교인 이순신대교 등 여러 개의 다리와 잘 포장된 넓은 도로들로 교통도 편리하다. 이로 인해 지금의 여수시는 관광사업면에서도 여수엑스포 이후부터 도시의 모습이나 위상이 급격하게 변화되었다. 예전에 허름하고 낡은 어촌이었던 돌산이 현재는 최고급 펜션들로 가득 차고 2조 원짜리 리조트가 들어오는 등 도시 전체가 관광 지역으로 급부상하였다.     특히 여수시의 강남이라는 웅천지구에는 어느 신도시보다 아름답고 생활하기에 편리한 여수 웅천 복합신도시가 있다. 친환경 주거와 관광 휴양산업을 함께 추구하는 부산 해운대의 마린시티를 닮은 복합신도시이다.     여수시는 구시가지와 신시가지를 잇는 여수의 중심에 있는 웅천택지지구를 친환경 신도시로 조성하는 내용의 기본계획안을 마련하고 85만여평의 웅천동 일대에 주택과 상업용지, 관광문화시설을 갖춘 신도시를 건설했다. 뒤에는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앞으론 청정해역 가막만을 바라보는 웅천지구에 3500억원을 들여 단독주택 600 가구, 아파트 1만2000여 가구와 상업·업무 단지, 마리나와 호텔 등 관광문화단지, 공공·복지·의료단지와 산업·연구단지 및 공원·녹지 23만5000평 등의 부지를 갖추었다.     그리고 건물들을 바다와 시내의 전망이 가능토록 계단식 테라스형으로 조성키로 했다. 특히 이 신도시를 주거·관광·휴양·산업기능을 갖춘 차세대 모델 도시로 개발키 위해 중심에 중앙공원을 조성하고 이 공원과 바다 사이에 호텔 3개와 컨벤션센터, 관광 식당가, 박물관, 마리나 시설이 들어설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앞으로 여수의 웅천 복합신도시는 친환경적 미래 신도시로 완성될 것이다.     ▶문의: (818) 497-8949 미셸 원 / BEE부동산부사장부동산 이야기 복합신도시 웅천 여수 웅천 여수엑스포 이후 여수 밤바다

2023-02-2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